우리행복하자

LH 임대아파트, 전세대출 가능할까?청년임대자 일반임대자

728x90

답은 가능합니다. 
 
청년들이 주거 문제로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사회 초년생이거나 대학을 졸업한 후 독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전셋값"입니다. 최근 전세대출을 이용해 집을 구하는 청년들이 많아졌지만, LH 임대아파트에 거주할 경우 전세대출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는 찾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년 LH 임대아파트와 전세대출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청년임대아파트




LH 임대아파트란?

먼저, LH 임대아파트가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저렴한 가격의 임대주택을 공급합니다. 특히 청년층을 위한 행복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이 대표적인데, 이 두 가지 유형의 임대주택은 일반적인 민간 전세와 차이가 있습니다. 보증금과 월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낮아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많은 청년들이 "보증금이 부족한데 전세대출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을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세대출 자체는 어렵지만, 보증금 대출은 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LH 임대아파트에서 전세대출이 가능할까?

일반적인 민간 전세주택을 구할 경우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대출과 같은 상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H 임대아파트는 전세가 아닌 공공임대 개념이므로, 전세대출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일부 유형에서는 보증금 대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복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보증금 일부를 대출받을 수 있는 상품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보증금을 한꺼번에 내기 부담스러운 청년들은 보증금 대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청년이 활용할 수 있는 전세대출 및 보증금 대출

그렇다면, LH 임대아파트에서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대출 상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대출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청년전용 보증금 대출 (행복주택 & 국민임대 가능)

대상: 만 19~34세 청년, 무주택자

대출 한도: 최대 3,500만 원 (보증금의 80% 이내)

금리: 연 1.8~2.7%

특징: 보증금 부족 시 유용하게 활용 가능

2. 주거안정 월세대출 (LH 임대아파트 거주자도 가능)

대상: 만 19~34세 청년, 소득 2천만 원 이하

대출 한도: 월 40만 원 한도로 최대 10년 지원

금리: 연 1.5~2.5%

특징: 월세 부담이 큰 경우 유용하게 활용 가능

위의 대출 상품은 일반적인 전세대출과는 다르지만, 보증금 마련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출 상품입니다.

청년 LH 임대아파트 전세대출 정리 (도표 다운로드)

LH 임대아파트의 유형별 전세대출 가능 여부를 한눈에 정리한 도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파일을 확인해 보세요.

 LH 임대아파트 + 전세대출 가능 여부
 
임대 유형                                전세대출 가능 여부
행복주택            =>                 보증금 일부에 대한 대출 가능 (일부 불가)
국민임대            =>                 보증금 일부 대출 가능 (전세대출 불가)
영구임대            =>                 대출 불가
10년 공공임대    =>                분양 전환 전까지 대출 불가
장기전세주택(시프트)     =>   대출 불가 (보증금만 내고 거주)
 
최근 대출 조건이 변동될 수 있으니, LH 및 주택금융공사(https://hf.go.kr)에서 최신 정보확인가능합니다. 
LH 임대주택의 보증금이나 월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이나 대출 상품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LH 전세임대포털(https://jeonse.lh.or.kr/)을 통해 확인하시거나, 해당 은행의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결론: 청년 LH 임대아파트, 전세대출이 아닌 보증금 대출 활용

청년이 LH 임대아파트에 거주할 경우 일반적인 전세대출은 어렵지만, 보증금 대출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 특히 행복주택과 국민임대주택의 경우 보증금 일부 대출이 가능하므로, 입주 전 반드시 대출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보증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청년이라면 주거안정 월세대출과 같은 상품을 활용해 월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주택금융공사나 은행을 통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청년 LH 임대아파트 거주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내 집 마련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함께 고민해 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